백두대간 지역적 분류
대간과 정간, 13정맥이 지나는 지역들 1. 백두대간(白頭大幹) : 백두산부터 함경도 단천의 황토령, 함흥의 황초령, 설한령, 평안도 영원의 낭림산, 함경도 안변의 분수령, 강원도 회양의 철령과 금강산, 강원도 오대산, 태백산, 충청도 보은의 속리산을 거쳐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대동맥으로 국토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산줄기이다. 2. 장백정간(長白正幹) : 장백산에서 시작, 함경도의 경성, 회령, 경흥의 여러 산을 지나 서수라곶산까지 함경도를 동서로 관통하는 산줄기이다. 3. 청북정맥(淸北正脈) : 백두대간의 낭림산에서 시작, 평안도 강계의 적유령, 삭주, 철산, 용천을 지나 의주의 미곶산에 이르는 서쪽을 향한 산줄기로 청천강 이북 지역에 해당함으로 청북정맥이란 이름이 붙었다. 4. 청남정맥(淸南正脈) : 낭..
2013. 6. 6.
백두대간 산줄기분류
◆ 백두대간(白頭大幹): 지리산에서 백두산까지 연결된 산줄기 ◆ 1정간(正幹) 및 13정맥(正脈) ▶한북정맥(漢北正脈) 북쪽으로 임진강, 남쪽으로 한강의 분수령이 된다. 백봉에서 시작한 한북정맥은 백암산(1,110m), 법수령을 지나 휴전선 가까운 오성산(1,062m), 철책 넘어 대성산으로 이어진다.포천 백운산(904m) 운악산(936m), 서울 도봉산,북한산(837m),고봉산(208m)을 지나 임진강과 한강의 합류 지점인 교하의 장명산(102m)에서 끝난다.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 한강과 금강을 나누는 분수령이다. 속리산 천왕봉(1,508m)에서 시작하여 말티고개, 선도산(547m),상당산성, 좌구산(657m),보현산(481m)을 지나 칠현산(516m)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이 갈라지면서 한남금..
2013. 6. 5.